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내 월급빼고 다 오르네/ 전기세 4.3%인상 가스비 7%인상

by 쑥쑥89 2022. 9. 22.

 

한전 적자 다 메꾸려면 가구당 전기요금 월8만원 인상 불가피

 

이런 제목의 기사를 보게되었습니다.

물론 한꺼번에 저렇게 많은 금액은 올릴 수 없습니다. 법적으로 조정폭이 ±5원으로 제한되어있기때문입니다.

22년 3분기 전기세 인상은 5원이 올랐습니다.

한번도 그런생각을 안해봤는데 전기세가 어떻게 산정이 되는것일까 궁금해져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.

 

전기요금 구조

전기요금 청구= 기본요금+전력량요금+기후환경요금+연료비조정요금

 

기후환경요금이란?

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 제공에 소요되는 비용이다. (기후환경요금단가 x 사용전력량으로 계산)

22년 4월 기준 기후환경요금단가는 7.3원/kwh이고 매년 변동된다.

 

연료비 조정요금이란?

연료비 조정단가x사용전력량으로 22년 3분기 기준 연료비조정단가는 5원/kwh이다.

이 금액 역시도 3개월마다 변동되며 적용 1개월 전에 한전사이버지점에 게시된다.

 

청구되는 금액

전기요금 +부가가치세 +전력산업기반기금

부가가치세는 전기요금x10%

전력산업기반기금은 전기요금x3.7%

 

전기누진세

전기를 쓸때 제일 걱정되는 부분이 누진세인거 같습니다. 아낄때 아끼더라도 정확하게 그 범위를 알아 두는것이 중요할 듯 싶습니다.

 

 

주택용전력(저압, 하계) 7월 1일~8월 31일
300kwh 이하 사용시 910원
처음 300kwh 까지 93.2원
301~450kwh 사용시 1,600원
다음 150kwh까지 187.8원
450kwh 초과 사용 7,300원
그 이후 400kwh 초과시 280.5원

 

 

주택용전력(저압, 기타계절)
200kwh 이하 사용시 910원
처음 300kwh 까지 93.2원
301~450kwh 사용시 1,600원
다음 200kwh까지 187.8원
400kwh 초과시 7,300원
그 이후 400kwh 초과시 280.5원

 

전기요금은 4인가구(월평균 사용량 307kwh 기준) 평균 월 전기요금 부담이 1,535원 증가

가스요금은 가구당(서울기준) 2,220원 증가

전기차 연료비(아이오닉 기준)가 kwh당 313.1원 증가

 

내 월급빼고 물가가 이렇게 오르는데 앞으로는 내 월급만 믿고 살아갈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.

요즘 주요 관심사가 월급 외 수당을 어떻게 만들수 있을까입니다.

수많은 부업들이 쏟아지는데 그 중 어떤게 나에게 맞는지는 해봐야 알 수 있는것 같습니다.

이 블로그 또한 내가 시도해보는 부업 중 하나입니다. 이 글을 읽고 있는 분중에 평소 부업에 대한 생각이 있으셨던 분들은

얼른 뭐라도 시작해보길 권합니다.

그 시작이 어디로 나를 데리고 갈지 모르지만 지금보다는 더 나아진 내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.

 

댓글